○ 조 사 명 : 홍성 장곡면 지정지구 전원마을 조성사업지구내 문화유적 시(발)굴조사
○ 조사지역 위치 : 충남 홍성군 장곡면 지정리 539-1번지 일원
○ 조사면적 : 9,463㎡(약 2,868평)
○ 조사기간 : 2008. 7. 03 ~ 2008. 7. 16(실조사일수 5일)
○ 사업시행자 : 홍성군
○ 조사단 구성
- 조 사 단 장 : 서오선(백제문화재연구원장)
- 자 문 위 원 : 이강승(문화재위원, 충남대학교 교수)
심정보(기호문화재연구원장, 한밭대학교 교양학부 교수)
이남석(공주대학교 교수)
- 책임조사원 : 정해준(백제문화재연구원 책임연구원)
- 조 사 원 : 김영국(백제문화재연구원 연구원)
- 보 조 원 : 이경렬(백제문화재연구원 조사보조원)
※ 조사결과
조사방법은 전체대상지역을 중심으로 폭 2m 내외의 트렌치를 5m 간격으로 능선의 경사방향에 따라 설치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, 일부 경사면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트렌치의 간격과 방향을 조절하여 설치하였다.
조사결과 조사지역의 정상부 및 상단부는 전체적으로 10~15㎝정도의 암갈색 사질점토인 표토층을 걷어내자 바로 황갈색 사질토인 기반토가 확인되었다. 중하단부는 1m 가량 단을 지며 떨어지며, 민묘 조성 및 후대 민가 등으로 인하여 교란이 심하게 이루어져 있다. 유구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3기,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4기 및 미상유구 1기가 확인되었다.
청동기시대 유구는 Tr. 18번 정상부에서 주거지 3기가 남-북 방향으로 나란히 확인되었다. 1기는 평면형태가 원형인 송국리형 주거지이며, 규모는 직경 약 6.5m 정도이다. 2기는 평면상에서 서로 중복된 상태로 확인되었다.
조선시대 유구는 Tr. 5번ㆍTr. 7번ㆍTr. 9번 정상부에서 수혈주거지가 각각 1기씩 확인되었으며, Tr. 8번 중단부에서 수혈주거지 1기 및 하단부에서 미상유구가 1기 확인되었다.
이상으로 조사결과 및 조사단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 조사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3기,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4기 및 미상유구 1기가 확인되었다. 조사지역의 향후 처리와 관련하여 자문위원 및 조사단의견은 유구가 확인된 구릉의 정상부분을 중심으로 1,000㎡의 면적에 대하여 기간연장을 실행하여 해당 유적에 대한 전면발굴조사를 진행하여야 한다.